[REST API] 네이버 로그인 구현하기 (2) - vue.js
·
프로젝트/Plan + tiful (플랜티플)
[최종 완성본] [진행 순서] 네이버 아이콘 클릭 -> 네이버 로그인 창 -> 로그인하는 순간 -> 요청 값들을 가지고 -> redirect 페이지로 이동 -> Access Token 발급 -> 토큰을 이용해서 사용자 정보 가져오기 -> 사용자 정보가 DB에 있는지 확인 -> 없다면 회원가입 -> 있다면 자동 로그인 [네이버 아이콘 클릭] @click 이벤트를 만들어 놓고 아래의 method 실행 @click="naverlogin" 메서드 naverlogin() { let client_id = "본인 client_id" let redirect_uri = encodeURIComponent("redirct_url", "UTF-8") const state = this.generateRandomState() c..
[Rest Api] vue와 Spring boot를 이용한 카카오톡 로그인 api 구현 (4) - 응답 받은 토큰 값으로 사용자 정보 가져오기
·
프로젝트/Plan + tiful (플랜티플)
3탄에서 응답으로 아래와 같은 토큰 값을 받았다. 이번에는 이 토큰을 이용해서 로그인 한 사용자의 정보를 가져오는 것을 진행해 보려고 한다. 2탄에서 언급한 vue 의 getToken() 메서드를 통해 진행되는 것이며 여러 번 나눠서 포스팅했지만 사실은 이게 모두 한 개의 요청으로 이루어진다는 사실... 아직 이 메서드 진행이 끝나지 않았다... 백앤드에서 받은 @GetMapping("/kakaologin/{code}") 중 '토큰을 요청하여 얻음' 까지 진행이 완료되었고 얻은 토큰으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려고 한다. // 코드를 빼와서 access token 을 얻어다 줄 것임 @GetMapping("/kakaologin/{code}") public HashMap kakaoLogin(@PathVaria..
파이널 프로젝트 : Plantiful
·
프로젝트/Plan + tiful (플랜티플)
파이널 프로젝트 Plan + plentiful = Plantiful로 스케줄을 관리하고 구독 서비스를 공유 하는 사이트 개발 도구 개발 언어 협업 Tool 개발 기간 기능 마인드 맵 내가 맡은 기능 멤버 : 카카오톡 로그인 api / 이메일 인증 / 유효성 및 정규식 검사 예치금 : 결제 api / 본인인증 api 홈페이지 기본 틀 css
Spring 과 Vue 의 작동
·
spring 스프링
Spring 은 백과 프론트 기능을 완벽하게 분리한 것으로 백앤드를 구현 할 때는 사용자가 보는 화면은 구현 하지 않는다. 예시로 이전까지의 프로젝트들에는 front를 구성하는 webapp에 JSP 파일이 있지만 완벽하게 분리 된 Spring은 webapp에 아무 파일도 없는 것을 볼 수 있다. Spring 은 view 단에서 요청이 오면 해당 요청을 수행 한다. Spring은 이게 회원가입인지, 로그인인지. 마이페이지인지 전혀 관심이 없다. 그저 DB와 관련되거나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 들어온 요청을 처리하기에 바쁘다. 그렇다면 view 는? 사용자가 보는 화면을 띄어주는 역할로 백단에서 구현 한 dto, dao, service 이런 것 들을 전혀 신경쓰지 않는다. 그저 사용자에게 기능을 보여주고 서버에..
해니01_15
'vue'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