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put type ="date" 사용시 placeholder 없애기
·
Front/css
형식을 사용하게 되면 볼 수 있는 기본 형식이다. 여기서 연도-월-일 을 없애고 내가 원하는 글씨를 새겨보려고 한다. 아래의 CSS 코드를 적용하면 달력만 있는 텅빈 input 박스를 만나게 된다. input[type=date]::-webkit-datetime-edit-text { -webkit-appearance: none; display: none; } input[type=date]::-webkit-datetime-edit-month-field{ -webkit-appearance: none; display: none; } input[type=date]::-webkit-datetime-edit-day-field { -webkit-appearance: none; display: none; } input[..
input type="number" 의 숫자 최댓값, 최솟값, 소수점 설정 방법
·
Front/html
[기본] HTML에서 숫자만 입력받고자 할 때는 number 타입의 input 태그를 사용해 주면 된다. 그러면 이렇게 화살표 모양으로 된 숫자만 입력 가능한 input 창이 하나가 보인다. 모양이 저런 건 내가 css를 넣어서 그렇다. [최솟값 / 최댓값] 이제 여기서 최댓값과 최솟값에 제한을 두려면 min과 max를 이용하여 제한을 걸어 두면 된다. 이렇게 제한을 걸어두면 아무리 올려도 max 이상으로 안 올라가고 아무리 내려도 min 이하로는 내려가지 않는다. [소수점] 소수점을 입력하려면 step이라는 속성을 설정하면 된다. . 1이라면 소수점 한자리 수 인 것이고. 01이라고 표현하면 소수점 두 자릿수까지 입력이 가능하다 step 속성이란 input 입력창의 숫자 간격을 설정하는 속성이다. 따라..
@Annotation 스프링 자주 사용하는 어노테이션 정리
·
spring 스프링
[@Annotation] 스프링은 어노테이션이라는 일종의 메타데이터를 사용하여 특별한 기능으로 코드를 구현할 수 있다. 어노테이션을 활용하여 Spring Framework는 해당 클래스가 어떤 역할인지 정하기도 하고, Bean을 주입하거나 자동으로 getter와 setter를 생성하기도 한다. 이렇게 어노테이션을 활용하면 코드량이 감소하고 유지보수가 쉬우며 생산성이 증가한다는 장점이 있다. [대표적인 Annotation] @Component 개발자가 생성한 Class를 Bean으로 등록할 때 사용되는 어노테이션이다. Spring 은 해당 어노테이션을 보고 Bean으로 등록한다. 아래에 Bean에 관련한 자세한 설명이 있다! 스프링 빈(Spring Bean)이란? 1. 스프링 빈(bean) Spring I..
vue에 ttf 형식 폰트 적용하기
·
vue
vue에 폰트를 적용하기 위해서 CDN 방식을 이용하는 가장 간편한 방식이 있다. 근데 만약에 CND 을 찾지 못한다면 ? 어떻게 해야 할까 ㅠㅠ 프로젝트를 하는데 글씨체가 ttf 형식만 있어서 vue에 적용 해보려고 한다. [ TTF 파일 넣기 ] 우선 src -> assets -> fonts (폴더생성) 후 그 안에 ttf 폰트 파일을 넣어준다. [ App.vue ] 그 후 App.vue 로 가서 아래와 같이 적어준다. 이렇게 하면 전역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font를 생성해 준 것이다. 대신 단점.. 모든 ttf 파일을 하나씩 아래와 같이 쳐주어야한다... 내가 지금 가진 글씨체가 무려 9개니까 그걸 다 적어줘야한다는건 저 세상 귀찮은 일이다... (아직도 못했음) @font-face { font-..
해니01_15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44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