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기술의 핵심 요소 세가지 

(1) HTTP + HTML (CSS 포함)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는 웹에서 데이터(주로 HTML, CSS, 이미지 등)를 주고 받기 위한 통신 규약이다. 

  • HTML  : 웹페이지의 구조를 정의하는 언어로, 텍스트, 이미지 링크 등을 표현한다. 
  • CSS : HTML로 구성된 웹페이지의 스타일을 담당한다. 

웹의 기본은 HTTP 를 통해 HTML/CSS 데이터를 브라우저로 전달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것이다. 

 

(2) WAS (Web Application Server)

WAS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고 결과를 반환하는 역할을 한다. 

  • 동적 웹 페이지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데이터를 가져오는 역할을 수행한다. 
  • 대표적인 WAS로는 Apache Tomcat, Spring Boot, Node.js 등이 있다. 

 

(3) DB (Database) 

DB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 예를 들면, 사용자의 정보, 게시글, 주문 내역 등 모든 데이터가 저장 된다. 
  • DB는 WAS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업데이트한다. 
  • 대표적인 DB로는 MySQL, PostgreSQL, MongoDB 등이 있다. 

 

URI와 URL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 자원을 식별하는 모든 표현을 말한다. 자원의 위치나 이름을 포함한 고유한 식별자이다.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 URI의 한 종류로, 자원의 '위치' 를 명확히 나타낸다. 

 

-> URI 안에 URL이 포함된다. 모든 URL 은 URI 이지만 모든 URI 가 URL인 것은 아니다. 

 

HTTP 

HTTP 메서드 

HTTP 메서드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할 작업을 나태낸다. 

[주요 메서드] 

  • GET : 데이터를 가져올 때 사용한다. (안전하고 데이터 변경이 없을 때 사용) 
  • POST :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전송할 때 사용한다 
  • PUT : 데이터를 수정 할 때 사용한다. 
  • DELETE : 데이터를 삭제할 때 사용한다. 

HTTP 응답 코드 

HTTP 응답 코드는 서버가 요청을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다. 

  • 200: 요청 성공. 정상적인 결과를 반환합니다.
  • 201: 요청 성공 + 자원이 새로 생성됨 (예: 새 데이터 생성).
  • 301: 영구적으로 다른 URL로 이동함 (리디렉션).
  • 302: 임시적으로 다른 URL로 이동함 (임시 리디렉션).
  • 400: 잘못된 요청 (클라이언트 오류).
  • 403: 권한 없음 (접근이 금지됨).
  • 404: 요청한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음 (URL 오타 등).
  • 500: 서버 내부 오류 (백엔드의 심각한 문제).

웹서비스의 기본 흐름 및 구조 

 

 

 

'IT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nkins 설치하기  (0) 2025.03.11
Jenkins으로 CI/CD 구축하기  (0) 2025.02.28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의 연관 관계  (0) 2024.10.26
컴파일과 인터프리터  (1) 2024.10.23
1.  (0) 2024.10.21
해니01_15